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부가 치안 대책으로 내놓은 의무경찰 부활을 하루 만에 주워담았습니다. <br> <br>취재해보니 사실상 백지화 수순인데요. <br> <br>면밀한 검토도 없이 불쑥 내놓은 오락가락 정책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><br>조영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정부가 의무경찰 부활을 사실상 백지화했습니다. <br> <br>한덕수 국무총리가 흉악 범죄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폐지 4개월 만에 재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한 지 하루 만입니다. <br> <br>경찰청장은 같은 자리에서 구체적인 규모와 도입 시점까지 숫자로 언급했었습니다. 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(어제)] <br>"범죄예방 역량을 대폭 강화하기 위해 의무경찰제의 재도입도 적극 검토하겠습니다." <br> <br>[윤희근 / 경찰청장(어제)] <br>"최고 많은 시점을 8000명 정도로 보고 운영하는 방안을 지금 관계부처하고 협의하겠다는 말씀입니다." <br> <br>하지만 하루 지나 오늘 내놓은 총리실의 설명 자료에는 조건이 붙었습니다. <br> <br>"적극 검토하겠다"고 했던 것과 달리 "경찰 재배치 뒤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하다면"이라는 조건이 붙었습니다. <br><br>총리실 관계자는 "원래부터 검토하겠다"는 차원이었다고 해명했지만, 채널A 취재 결과 정부 내부에서 발표 이후 문제가 제기됐고 사실상 백지화 수순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기존 경찰 인력을 재배치해 자구책을 마련하기 전에 불과 폐지 4개월 만에 다시 세금을 들여 경찰 인력부터 늘리려 한 건 문제라는 겁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참모들에게 경찰 본연의 업무인 치안 역량 약화를 우려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일각에서는 경찰이 치안 역량 강화를 핑계로 인력을 늘리는 숙원사업을 해소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습니다 <br> <br>결과적으로 하루 만에 총리 발언 번복으로 정부 불신을 자초했다는 지적은 피하기 힘들게 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